본문 바로가기

유통기한 만료/→그림일기

중이염환자 물놀이 갈 때는 귀마개·바세린 챙겨라

장마가 끝나고 나면 방학을 맞은 아이들은 본격적으로 더위를 피하기 위해 수영장이나 바다를 많이 찾게 된다. 그러나 중이염에 걸린 아이들은 물에 들어가는데 있어 한층 더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의들의 지적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중이염은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로 특히 소아에서는 상기도 감염증과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은 유소아기인 생후 6개월에서 3년 사이에 급성 중이염의 형태로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뇌수막염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력장애를 유발하여 언어 습득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학업 능력 저하 등을 유발 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중이염은 크게 급성중이염과 삼출성중이염, 만성중이염으로 나눠진다.

대한의사협회 국민의학지식향상위원회에 따르면 귀는 귀바퀴와 귀구멍으로 이루어진 외이, 고막과 달팽이관 사이를 연결하여 소리를 전달하는 세 개의 이소골과 그 속의 빈 공간인 중이강으로 이루어진 중이, 소리를 듣게 해 주는 달팽이관과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으로 이루어진 내이로 나뉜다.

급성중이염은 중이강 내에 생긴 급성 염증으로, 흔히 상기도감염증이 이관을 통하여 중이로 전달돼서 생긴다. 코와 귀를 연결하고 있는 이관은 성인에 비해 유소아에서 짧고 넓으며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성인보다 염증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귀에서 통증이나 난청 및 이루(귀의 분비물)가 생기며 발열, 식욕부진, 피로감 등이 보일 수 있다. 특히 심한 두통, 고열이 나타나고 목을 굽힐 수 없는 경우는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의 선행증상이므로 전문의를 찾아가 진찰을 받는 것이 좋다.

삼출성중이염은 급성증상이 없이 염증이나 이관패쇄, 및 알레르기 등으로 중이강 내 삼출액이 고이는 중이염이다.

급성중이염과는 달리 발열 등의 전신증상은 거의 없고, 난청이나 이명 또는 자신의 음성이 크게 울려 들리는 증상이 나타난다.

만성중이염은 급성중이염을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아 만성화 된 중이염으로 중이염이 발생한 후 3개월 이상에 걸쳐 염증성 병변이 있을 때를 말한다.귀에 고름이 흐르는 이루와 난청은 만성중이염 환자에게서 가장 흔하게 보이는 증상이다. 현기증이나 안면 신경마비 등을 호소하는 경우에는 중이내의 중요 구조물이나 안면신경의 손상 가능성이 있으므로 조기에 전문의를 찾는 것이 좋다.

만성중이염에 걸린 환자들은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고 휴가기간 동안에 재발이나 악화가 돼지 않았는지 꼭 점검해봐야 한다.

삼성서울병원 조양선 교수는 중이염 환자에게 귀마개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그러나 귀마개가 완벽하게 물을 차단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귀마개 주변에 바세린 등을 발라서 물 유입을 차단하는 것도 좋은 방법. 깊은 곳을 잠수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